theCFO

김승준

  • 출생
    • 1972년 05월
  • 학력
    연세대 경영학
  • 약력
    2000년 03월  기아 
    기아 재경기획팀 팀장(책임매니저)
    기아 경영분석팀 팀장(책임매니저)
    2021년 12월  기아 재무관리실 실장(상무)
    2023년  기아 경영관리실 실장 (상무)
    [현]2024년 11월  기아 재경본부 본부장(전무)

프로필수정


원문 수정 내용 추가

이력

김승준 전무는 1972년생으로 연세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2000년 기아에 입사해 20여년간 몸담아온 인물이다. 입사 뒤 재경기획팀과 경영분석팀에서 팀장으로 일했다. 2022년 재무관리실장에 오르면서 임원으로 승진, 상무 타이틀을 달았다. 1년 만인 2023년 경영관리실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기아 최고재무책임자(CFO)에 발탁된 것은 2024년 11월이다. 그룹 인사에서 전무로 승진하면서 재경본부장에 선임됐다.

인맥

김 전무는 기아 최초의 '순혈 기아맨' CFO로 관심을 모았다. 전임 재무책임자들의 경우 대부분 현대자동차와 현대모비스(옛 현대정공), 현대제철 등 다른 계열사에서 경험을 쌓고 기아 CFO로 이동한 것과 대조적이다. 그간 내부 출신 CFO가 없었던 이유는 1999년 기아 대주주가 현대차로 바뀌고 충분한 시간이 지나지 않았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기아가 현대차에 인수된 이후 대졸공채를 재개한 건 김승준 전무가 입사한 2000년이다. 기아는 주로 50대 중반의 남성을 CFO로 선택해왔는데 그전까지 순혈 임원들은 연차가 젊었던 셈이다. 하지만 2024년 말 인사에선 기아에서 햇수로 25년차를 보낸 김 전무가 적임자로 부름받았다. 김 전무는 다른 계열사 이동 없이 기아 한 곳에서만 일한 만큼 내부사정에 밝고 영향력 확대에도 유리하다고 평가된다. 재경기획팀과 경영분석팀, 재무관리실 등 재경본부를 두루 거치면서 차근차근 성장해왔다. 재무관리실장으로 첫 임원 명패를 받았던 2022년엔 주우정 사장 휘하에서 근무했다. 주 사장은 김 전무와 마찬가지로 재무관리실장을 거쳤으며 당시 CFO(부사장)로 재경본부를 이끌고 있었다. 그러다 주 부사장이 사장으로 승진해 현대엔지니어링 대표이사(CEO)로 영전했고 김 전무가 배턴을 이어받았다. 재경본부 전체에 대한 보상성 인사로 해석할 수 있다. 주 사장 산하에 있던 내부 인사를 CFO로 올려 재무라인에 큰 변화를 주지 않았다. 안정적으로 조직을 이끌어가려는 기조가 읽힌다. 추후 김승준 전무는 송호성 기아 대표를 보좌하면서 구종해 재무관리실장 등과 손발을 맞출 전망이다.

파이낸셜 스토리

기아는 2024년 '매출 100조' 시대를 열면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창사 81년 만에 처음으로 100조원을 넘겼고 영업이익률 역시 11.8%로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 레저용 차량(RV)과 친환경차 등 고부가가치 자동차 판매 증가로 수익성이 개선되면서 승승장구하고 있다. 배경은 제품 믹스라는 평이다. 일부 완성차 회사들은 2024년 팬데믹 이후 밀렸던 대기수요가 차츰 해소되면서 2023년보다 수익성이 주춤해졌다. 하지만 기아는 판매량이 2023년 대비 소폭 꺾였는데도 매출과 영업이익은 성장세를 유지했다. 스포티지와 소렌토, 셀토스, 카디발 등 주력차종 대부분이 SUV로 이뤄져 있고 채산성 좋은 SUV의 판매비중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고마진 트림과 옵션판매 역시 판매단가 상승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기아의 고마진 트림 판매비중은 2018년 51% 수준에 불과했지만 2024년엔 70%대로 점프했다. 매년 대규모 현금이 들어오는 호황에서 김승준 전무의 주요 과제는 대규모 투자금 집행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기아는 2024년 4월 인베스터 데이(Investor Day)를 통해 2028년까지 5년간 38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연간 7조원 이상을 쓴다는 얘기지만 크게 부담이라고 보긴 어렵다. 배당지금액을 감산하고도 연간 6조원대의 잉여현금흐름을 창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아는 연간 3조원 정도가 CAPEX(자본적지출)에 들어가지만 영업활동현금흐름만으로 충분히 쓰고 남는 수준이라 매년 잔여현금이 쌓인다. 2024년의 경우 영업현금이 10조원을 기록, 여기서 3조원의 CAPEX와 배당에 쓴 2조2000억원을 빼고 4조8707억원의 잉여현금을 남겼다. 실적 전망과 현금흐름을 고려하면 김 전무는 앞으로 실질적인 무차입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자금 소요를 감당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아는 최대 실적 갱신에 이어 2025년 목표는 더 높여 잡았다. 판매 321만6000대, 매출 112조5000억원, 영업이익 12조4000억원(영업이익률 11%)을 제시했다. 2024년과 비교해 판매는 4.1%, 매출은 4.7% 많은 수치다. 김 전무는 컨퍼런스콜을 통해 "산업수요 등을 봤을 때 성장이 가능할까 의구심을 가질 수도 있지만 2025년은 그 어느때보다 많은 신차를 계획하고 있다"며 "전기차 캐즘을 깰만한 대중화된 전기차도 준비하고 있어 어려운 시장 상황을 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조달

기아는 레버리지 전략이 보수적인 곳으로 꼽힌다. 10년 넘게 재무구조를 순현금 상태로 유지하면서 총차입금을 보유현금을 밑도는 규모로 통제해왔다. 그러다 총차입금이 눈에 띄게 증가했던 해가 2020년이다. 당시 기업들은 팬데믹이 불러온 금융시장 불안에 대응하기 위해 줄줄이 유동성 확충에 나섰다. 기아도 동참했는데 2020년 총 4조6400억원을 차입하고 6000억원 규모의 사채를 발행했다. 이중 차환에 1조2000억원 정도를 썼으니 순조달 규모만 4조원을 웃돈다. 6조원대였던 기아의 총차입금이 2020년 10조4000억원대로 급증한 배경이다. 하지만 기아는 이듬해 바로 1조1000억원, 2022년 또 2조원, 2023년엔 3조8000억원을 순상환하면서 다시 차입을 줄여나갔다. 특히 2023년의 경우 차환을 포함해 한 푼도 빌리지 않았다. 2021년 이후 2024년 9월 말까지 상환을 위해 빠져나간 금액은 약 10조원, 이중 차환을 제외하고 순상환한 규모만 따져도 7조9139억원에 달한다. 덕분에 2024년 9월 말 기아의 총차입금 규모는 3조2526억원까지 줄었다. 절반 이상(약 1조9800억원)은 만기가 1년 이상 남은 장기사채이기 때문에 차입구조도 양호한 편이다. 이자비용은 800억원, 연환산해도 1000억원 안팎에 그친다. 어차피 현금이 넘치다 보니 공격적으로 차입금을 줄이고 있다. 실제로 몇 년새 수조원의 차입금을 갚았지만 2018년 이후 한 해도 빠짐없이 현금이 늘었다. 기아는 2024년 3분기 말 기준 21조5000억원을 넘는 현금을 보유했다. 단기금융자산과 기타 채무증권, 수익증권 등을 포함한 금액이며 순현금만 따져도 18조2600억원이다. 4년간 불어난 현금만 7조원에 상당하고 순현금은 무려 14조원 가까이 뛰었다.

사내위상

기아는 대대로 CFO 위상이 높은 기업이다. 역대 재경본부장 가운데 절반 이상이 사장으로 승진해 기아 또는 타 계열사 대표이사로 영전했다. 재직 기간에도 이사회 일원으로서 오너를 보좌하고 리더십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 기아가 현대자동차에 인수된 이후 재경본부장을 역임한 인물은 김승준 전무를 제외하고 총 8명이다. 이중 정학진, 김치웅, 안희봉, 박한우, 주우정 CFO 등 5명이 사장으로 승진했다. 또 8명 모두 빠짐없이 사내이사으로 이름을 올렸다. 정몽구 명예회장과 정의선 회장 가운데 적어도 한 사람은 꼭 기아 이사회 일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오너와 함께 주요 경영 안건을 논의하고 결정하는 역할을 했다. 김승준 전무 역시 3월 주주총회에서 사내이사로 선임됐다. 보수의 경우 2023년 김승준 전무가 수령한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다만 전임인 주우정 사장의 경우 총 9억9000만원을 지급 받았다. 이중 급여가 5억8000만원, 상여가 4억600만원, 400만원은 복리후생비 등이다.

CFO’s Track Record

투자자 소통

[ CFO 취임 이후 IR 개최 횟수: 총 21 펼쳐보기 ]
일시 장소 참가대상자 개최목적 개최방법 후원기관 주요 설명회내용
2025.07.04 서울 국내/해외 기관투자자 및 애널리스트 등 판매 현황 및 주요 경영 현황 설명 컨퍼런스콜 Macquarie 증권 판매 현황 및 주요 경영 현황 업데이트
2025.06.17
~
2025.06.20
유럽(런던, 에든버러) 해외 주요 기관투자자 해외지역 방문 IR (Non-Deal Roadshow) 실시 One-on-One 및 소규모 그룹 미팅One-on-One 및 소규모 그룹 미팅 Macquarie 증권 2025년 1분기 경영실적 및 주요 경영현황 설명, 6/17~19일(런던), 6/20일(에든버러) 총 4일
2025.05.27
~
2025.05.29
홍콩 해외 주요 기관투자자 해외지역 방문 IR (Non-Deal Roadshow) 실시 One-on-One & Group 미팅 UBS 증권 2025년 1분기 성과 및 주요 경영 현황 업데이트
2025.05.23 서울 주요 기관투자자 제3회 NH투자증권 더C포럼 참석 One-on-One 및 소규모 그룹 미팅 NH 투자증권 2025년 1분기 성과 및 주요 경영 현황 업데이트
2025.05.20 서울 해외 주요 기관투자자 2025 BofA Korea Conference 참석 One-on-One 및 소규모 그룹 미팅 BofA 증권 2025년 1분기 경영실적 및 주요 경영현황 설명
2025.05.16 서울 국내/외 주요 기관투자자 2025 삼성 Global Investor Conference 참석 One-on-One 및 소규모 그룹 미팅 삼성 증권 2025년 1분기 경영실적 및 주요 경영현황 설명
2025.05.15 샌프란시스코 해외 주요 기관투자자 해외지역 방문 IR (Non-Deal Roadshow) 실시 One-on-One 및 소규모 그룹 미팅 Citi 증권 2025년 1분기 경영실적 및 주요 경영현황 설명
2025.05.13
~
2025.05.14
뉴욕 해외 주요 기관투자자 해외지역 방문 IR (Non-Deal Roadshow) 실시 One-on-One 및 소규모 그룹 미팅 Citi 증권 2025년 1분기 경영실적 및 주요 경영현황 설명
2025.05.12 보스턴 해외 주요 기관투자자 해외지역 방문 IR (Non-Deal Roadshow) 실시 One-on-One 및 소규모 그룹 미팅 Citi 증권 2025년 1분기 경영실적 및 주요 경영현황 설명
2025.04.28
~
2025.04.30
서울 국내 주요 기관투자자 국내기관 방문 IR (Non-Deal Roadshow) 실시 One-on-One 및 소규모 그룹 미팅 미래에셋 증권 2025년 1분기 경영실적 및 주요 경영현황 설명
2025.04.25 서울 애널리스트, 기관투자자, 언론 外 2025년 1분기 경영실적 발표 컨퍼런스 콜 자사 주관 2025년 1분기 경영실적 설명 및 질의응답
2025.04.15 서울 해외 기관투자자 등 2025 CEO Investor Day 후속 Q&A 컨퍼런스콜 Citi 증권 2025 CEO Investor Day 후속 Q&A
2025.04.09 서울 (중구) 애널리스트 및 기관투자자 2025 기아 CEO Investor Day 개최 투자자 대상 설명회 자사 주관 중장기 미래 전략 및 재무목표 발표
2025.03.17
~
2025.03.18
싱가포르 해외 주요 기관투자자 해외지역 방문 IR (Non-Deal Roadshow) 실시 One-on-One 및 소규모 그룹 미팅 JP Morgan 증권 2025년 경영현황 전망 및 주요 경영 현황 업데이트
2025.02.26
~
2025.02.27
런던 해외 주요 기관투자자 해외지역 방문 IR (Non-Deal Roadshow) 실시 One-on-One 및 소규모 그룹 미팅 CITIC CLSA 증권 2024년 4분기 경영실적 및 주요 경영현황 설명
2025.02.21 서울 해외 주요 기관투자자 JP Morgan Korea Corporate Day 2025 참석 One-on-One 및 소규모 그룹 미팅 JP Morgan 증권 2024년 4분기 경영실적 및 주요 경영현황 설명
2025.02.11
~
2025.02.13
홍콩, 싱가포르 해외 주요 기관투자자 NH투자증권 아시아 컨퍼런스 참석 One-on-One 및 소규모 그룹 미팅 NH 투자증권 2025년 경영현황 전망 및 주요 경영 현황 업데이트
2025.02.03
~
2025.02.05
서울 국내 주요 기관투자자 국내기관 방문 IR (Non-Deal Roadshow) 실시 One-on-One 및 소규모 그룹 미팅 신영증권 2024년 4분기 경영실적 및 주요 경영현황 설명
2025.01.24 서울 애널리스트, 기관투자자, 언론 外 2024년 4분기 경영실적 발표 컨퍼런스 콜 자사 주관 2024년 4분기 경영실적 설명 및 질의응답
2025.01.08 서울 국내/해외 기관투자자 및 애널리스트 등 판매 현황 및 주요 경영 현황 설명 컨퍼런스콜 Macquarie 증권 판매 현황 및 주요 경영 현황 업데이트
2024.12.02
~
2024.12.05
런던, 에든버러 해외 주요 기관투자자 해외지역 방문 IR (Non-Deal Roadshow) 실시 One-on-One 및 소규모 그룹 미팅 CITIC CLSA 증권 2024년 3분기 경영실적 성과 및 주요 경영 현황 업데이트

부임 이후 회사 재무 변화

  • 차입금평균이자율=1년치로 추산한 차입금 금융비용/(기초 총차입금+기말 총차입금)/2
  • 이자부담률=1년치로 추산한 차입금 금융비용/(기초 부채총계+기말 부채총계)/2

타인자본 조달 실적

채권
발행일 채권명 발행액(원화) 만기일 신용등급 C.R
전체 270,000
전임자 2020-04-22 기아자동차 283-3 70,000 2027-04-22 AA 2.192%
2021-03-03 기아자동차 284-2 150,000 2026-03-03 AA 1.714%
2021-03-03 기아자동차 284-3 50,000 2028-03-03 AA 1.955%
메자닌
※발행이력이 없습니다.

자기자본 조달 실적

유상증자
※발행이력이 없습니다.

재무 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