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CFO

0

빅딜 그 이후

통합 셀트리온, 급감한 매출채권…비정상의 정상화

①셀트리온→헬스케어 특수관계자 거래구조 해소, 재고자산 3조로 급증

원충희 기자  2024-04-22 15:00:15

편집자주

인수합병(M&A), 기업공개(IPO) 등 '빅딜(Big Deal)'은 기업의 운명을 가른다. 단 한 건의 재무적 이벤트라도 규모가 크다면 그 영향은 기업을 넘어 그룹 전체로 영향을 미친다. 그 영향은 긍정적일수도, 부정적일수도 있다. THE CFO는 기업과 그룹의 방향성을 바꾼 빅딜을 분석한다. 빅딜 이후 기업은 재무적으로 어떻게 변모했으며, 나아가 딜을 이끈 최고재무책임자(CFO) 및 재무 인력들의 행보를 살펴본다.
셀트리온은 셀트리온헬스케어와 통합법인 출범을 통해 가공매출 논란의 시발점인 '특수관계자 거래구조'를 해소했다. 이와 동시에 매출채권과 재고자산 수치를 정상화 시켰다. 셀트리온 통합법인은 매출채권이 1조원 넘게 급감한 반면 재고자산은 2조원 이상 늘었다. 셀트리온 '원재료 및 반제품 제공'→셀트리온헬스케어 '중간가공 및 판매' 구조가 합병을 통해 사라진 영향이다.

자산, 자본 등 모든 외형적인 면에선 볼륨이 대폭 늘었다. 다만 매출은 감소했는데 합병에 따른 셀트리온헬스케어향 바이오시밀러가 4분기 긴급물량 위주로 공급량이 조절된 영향 때문이다.

◇매출채권 1.4조↓, 헬스케어향 매출 제거

셀트리온 통합법인의 지난해 말 연결기준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은 큰 폭의 변화를 보였다. 합병 전인 작년 9월 말 셀트리온의 매출채권은 2조3671억원, 재고자산은 5250억원이었지만 통합 후인 지난해 말에는 각각 9605억원, 3조414억원이다. 매출채권은 전분기 대비 1조4000억원 줄고 재고자산은 2조5000억원 늘었다.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작년 9월 말 연결기준 재고자산이 2조6807억원인 점을 감안하면 통합법인의 재고가 3조원으로 늘어난 요인은 얼추 맞아떨어진다. 그러나 매출채권이 1조원 넘게 빠진 것은 다른 이유가 있다. 과거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매출구조 영향이 크다.

셀트리온은 바이오시밀러(생물학제제 복제약) 반제품 및 완제품을 만들고 셀트리온헬스케어가 이를 매입해 전 세계로 판매하거나 중간 가공을 거쳐 완제품으로 만든 뒤 공급한다. 생산부서(셀트리온)와 판매부서(셀트리온헬스케어)로 사실상 내부거래나 다름이 없다. 때문에 셀트리온의 매출채권 중 상당부분은 셀트리온헬스케어에 공급된 원재료 및 반제품이다. 합병을 통해 이 부분을 빠지면서 1조4000억원의 매출채권이 감소했다.

셀트리온을 괴롭혀 왔던 가공매출 논란도 이 같은 거래구조로 인해 불거졌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셀트리온으로부터 바이오시밀러를 사들이는 과정에서 셀트리온 매출을 늘리기 위해 외상으로 물건을 사와 재고로 쌓아둔다는 의혹도 끊이지 않았다.

두 회사가 합쳐진 후 셀트리온헬스케어에서 발생한 셀트리온 수익은 더 이상 매출이 되지 않는다. 셀트리온헬스케어가 해외판매를 통해 낸 수익과 셀트리온이 국내에서 벌어들인 수익만 진정한 매출로 잡힌다. 셀트리온은 지난 12월 28일 주요 고객사인 셀트리온헬스케어 합병에 따라 판매권부여기본계약이 해지된 상태다.


◇모든 게 커졌다…매출만 빼고

통합 셀트리온은 1+1의 효과를 내며 규모 확대를 이뤄냈다. 모자회사 간 합병이라면 연결재무제표에 큰 변화가 없으나 셀트리온홀딩스 산하 관계사 두 개가 합병했기 때문에 변동 폭이 클 수밖에 없다.

작년 말 연결기준 자산은 19조9175억원으로 9월 말(6조5551억원) 대비 3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부채는 2조750억원에서 2조7917억원으로 소폭 늘어난데 비해 자본은 4조2742억원에서 17조1255억원으로 대폭 증가한 게 전체 자산을 팽창시켰다. 총차입금은 8897억원에서 1조8904억원으로 112%, 현금성자산은 4045억원에서 7575억원으로 87% 늘었다.

다만 매출은 2조1764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3825억원 증가에 그쳤다. 셀트리온은 매분기 5000억~6000억원 수준의 매출 실적을 냈으나 작년 4분기에는 저조했다. 2022년 4분기(5106억원)와 비교해도 급감한 수준이다. 이는 합병에 따른 셀트리온헬스케어향 바이오시밀러가 4분기 긴급물량 위주로 공급량이 조절된 영향 때문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