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CFO

0

K-ESG 공시준비 중간점검

ESG공시 의무화 선결과제 '한국형 기준 만들기'

①금융당국, 글로벌 표준 'IFRS S1·S2' 토대 논의…'공시관리자' CFO 대응 필요

박동우 기자  2023-07-25 17:27:18

편집자주

최고재무책임자(CFO)의 주요 업무 중 하나는 '공시 관리'다. 기업 정보 제공을 총괄하는 만큼 공시 제도 변화를 예의주시할 수밖에 없다. 2021년부터 금융당국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정보 공시 의무화 방안을 추진해왔다. 2025년 자산총계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에 먼저 의무를 부과한 뒤 2030년 전체 코스피 상장사로 공시 의무를 확대하는 계획을 세웠다. THE CFO는 한국형 ESG(K-ESG) 공시 의무화 추진을 둘러싼 현안을 점검하고 개선·보완 방안을 탐색해본다.
'환경·사회·지배구조(ESG)'는 기업 경영 기조를 관통하는 핵심 키워드로 자리매김했다. 금융당국에서 'ESG 정보 공시 의무화' 정책을 추진하는 배경과 맞닿아 있다. 제도를 시행하는 시점까지 2년 남은 상황이다.

한국형 공시기준을 설계하는 일이 ESG 공시 의무화 정책의 선결과제다. 금융위와 회계기준원은 글로벌 표준안 '국제회계기준(IFRS) S1·S2' 기준서를 토대로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공시 관리자 역할을 수행하는 최고재무책임자(CFO)들이 의견을 적극 개진하며 대응하는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2021년 정책논의 시작, 지속가능보고서 자율공시 증가

국내에서 ESG 공시를 둘러싼 정책 논의가 궤도에 오른 시점은 2021년 1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금융위원회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공시 의무를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2025년부터 자산총계 2조원 이상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사를 대상으로 적용하고 2030년에는 모든 코스피 상장사를 대상으로 ESG 공시 의무를 부과하는 구상을 그렸다.


△환경 보전 △사회적 기여도 △경영 투명성 등의 가치를 중시하는 투자자들이 점차 많아진 흐름과 맞물렸다. 재무제표에 국한하지 않고 탄소 배출량, 환경 보호 조치 등의 정보를 투자자들에게 제공하는 해외 기업들이 주목을 받았다. 글로벌 자본시장 트렌드에 보조를 맞춰 한국에서도 ESG 관점에 입각한 투자를 촉진해야 한다는 인식이 대두됐다.

자발적으로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간해 공시하는 기업들이 대폭 늘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채널에 상장사들이 게시하는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공시 건수의 변화가 방증했다. 2019년에는 20건에 그쳤으나 2020년 38건, 2021년 80건, 2022년 142건 등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올해 들어서는 이달 24일까지 기업 109곳이 ESG 정보를 공개했다.


국내 기업들은 해외에 존재하는 정보공개 가이드라인에 맞춰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펴냈다. △글로벌 리포팅 이니셔티브(GRI) 기준 △기후변화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TCFD) 권고안 △미국 지속가능성 회계기준위원회(SASB) 기준 등이 대표적이다.

다양한 ESG 공시 작성 기준이 존재하는 상황은 자연스레 단일 공시 표준을 마련하자는 논의로 이어졌다. 정보 제공의 일관성을 확립하는 취지였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기후 공시 기준 초안을 발표하고 유럽연합(EU)에서 지속가능성 공시기준(ESRS)을 수립하는 등 주요국 정부의 움직임 역시 영향을 끼쳤다.

◇한국형 공시기준 설계, 국제표준 'IFRS S1·S2' 토대

금융위는 ESG 공시에 대한 글로벌 표준안을 토대로 '한국형 ESG 공시기준'을 만드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한국형 기준 제정을 준비하는 핵심 조직은 한국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다. 올해 1월에 회계기준원 산하 기구로 금융위와 논의를 거쳐 발족했다.

ESG 공시를 겨냥한 글로벌 표준으로는 국제회계기준(IFRS) 재단 산하 기구인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만든 기준서가 거론된다. ISSB는 2022년 3월에 ISSB는 'IFRS S1 지속가능성 재무정보 공시를 위한 일반요구사항'과 'IFRS S2 기후 관련 공시'라는 가이드라인 초안을 마련했다. 이후 각국 의견 수렴을 거쳐 올해 6월에 최종 기준서를 완성했다.


IFRS S1에는 지속가능성을 둘러싼 위험이나 기회가 기업 재무 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내용을 포함했다. 탄소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제조 시설을 폐쇄한 조치가 현금흐름, 기업 평판, 지역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공시하는 예시를 들 수 있다.

IFRS S2는 온실가스 배출량과 배출 목표 등을 공시하는 원칙을 반영했다. △사업장에서 화석연료를 직접 태우면서 발생한 배출량(스코프 1) △사업장이 외부 전기를 끌어다 쓰면서 간접적으로 발생한 배출량(스코프 2) △협력사 배출량(스코프 3)으로 정보 제공 범위를 정했다.

정보 공개 기준을 통일하는 과제 외에도 ESG 공시 의무를 적용하는 대상 회사, 연간 공시 시점, 공시 의무화 유예 여부 등을 최종 확정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금융위는 당초 올해 7월에 구체적 시행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었지만 시점을 늦추기로 결정했다. 회계기준원 등 전문가 집단을 넘어 일선 기업 의견도 추가 수렴할 필요성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정책 추진과 맞물려 공시 관리를 책임지는 최고재무책임자(CFO)들이 ESG 정보 공개 의제를 면밀하게 들여다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삼정KPMG는 최근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CFO는 공시 최고관리책임자로서 생성된 ESG 정보의 신뢰성과 재무정보 연계성을 관리해야 한다"고 언급하며 회사 재무를 총괄하는 임원의 적극적인 대응을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