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CFO

0

밸류업 프로그램 리뷰

DGB금융, 자사주 매입으로 올린 '주주환원율'

[금융지주] 배당성향만 보면 전년 대비 3.8%p 뒷걸음

박서빈 기자  2024-03-22 08:26:13

편집자주

금융당국은 2024년 1월 상장사 주주가치 제고 독려 및 정책적 지원을 위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도입을 발표했다. 미국, 일본 등 글로벌 증시 대비 유독 낮은 한국 주식 시장의 밸류에이션을 개선하겠다는 목적이다. 이와 맞물려 많은 상장사들은 대규모 주주 환원책을 내놓는 등 정부 정책에 부응하고 있다. 이같은 움직임을 보이는 종목들의 주가도 눈에 띄게 상승했다. 더벨은 주요 상장사들의 밸류업프로그램에 대해 리뷰해보고 단발성 이벤트에 그칠지, 지속적인 밸류업이 가능할지 점검해 본다. 이 과정에서 코리아디스카운트의 원인이 되는 거버넌스에 미칠 영향과 개선방안을 살펴본다.
DGB금융지주은 오랫동안 저평가를 받고 있는 금융지주사다. 지난 5년 평균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27배, 주가수익비율(PER) 역시 3.6배로 저조한 흐름을 이어갔다.

DGB금융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해법으로 주주환원율 30%를 목표로 제시했다. 주주환원 여력을 나타내는 보통주자본비율(CET1)을 높이고 이에 맞춰 주주환원율을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다만 지난해에는 배당성향 확대보다는 자사주 매입으로 주주환원율을 끌어올렸다. 실적 부진으로 현금배당이 줄자 자사주 매입으로 이를 높인 것이다.

출처=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20일 기준 DGB금융지주의 PBR은 0.27배, PER은 3.85배다. PBR은 주가를 장부가치로, PER은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비율이다. 통상적으로 PBR은 1배, PER은 10배를 기준으로 이보다 낮으면 저평가 됐다고 해석한다. PBR은 기업의 재무상태 측면에서 주가를 판단하고, PER은 수익성 측면에서 주가를 본다.

최근 5년 동안 DGB금융의 PBR은 저조한 흐름을 나타냈다. 2019년 0.32배, 2020년 0.26배, 2021년 0.28배, 2022년 0.27배, 2023년 0.24배다. 같은 기간 PBR도 3.85배, 3.36배, 4.22배, 3.66배, 3.05배로 2021년을 제외하고 4배 미만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출처=BNK금융지주

DGB금융은 중장기 주주환원정책을 수립하며 주주환원율 상향 계획을 발표했다. CET1이 11% 이상이면 총 주주환원율을 30% 목표로 점진적으로 상향하고, 12% 이상이면 총 주주환원율을 30% 초과 40% 미만으로 설정한다는 계획이다.

최종 관리 목표는 13%로 이를 달성하면 총 주주환원율을 40% 이상으로 높인다는 방침이다. 주주환원 여력을 늘어나는만큼 주주환원을 확대해 주주가치를 제고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DGB금융은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에 맞춰 총 주주환원율 상향에 나섰다. 작년 말 CET1이 11.2%를 기록하자 총 주주환원율을 전년 대비 1.4%포인트 높인 28.8%로 결정했다.

다만 여기엔 자사주 매입 효과가 컸다. 실적 부진으로 현금배당이 줄어들면서 배당성향이 전년 보다 뒷걸음질 쳤기 때문이다. DGB금융의 지난해 배당성향은 23.6%로 전년(27.4%)보다 3.8%포인트 낮다. 이를 2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이 끌어올린 것이다.

향후 관건도 수익성 개선이 될 전망이다. 수익성이 좋아져야 CET1도 제고하고, 이를 토대로 주주환원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CET1은 금융사의 가장 순수한 자본으로 꼽히는데, 회계상 자본으로 분류되는 후순위채나 신종자본증권으로는 올릴 수 없다. 이를 키우기 위해선 당기순이익을 늘려 이익잉여금이 적립해야 하는 방법 밖에 없다.

DGB금융은 지난해 말 369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내며 분기 적자 전환했다. 부동산 PF 충당금 1007억원(은행 63억원, 증권 803억원, 캐피탈 141억원), 민생금융 관련 비용 401억원, 은행 ERP 403억원 등 총 1811억원의 비용이 반영된 영향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시리즈 모아 보기

밸류업 프로그램 리뷰

금융지주
1자사주 소각에 급반등한 금융지주 PBR '1' 도전
2자사주 카드 꺼낸 하나금융지주, 주주환원 셈법 '치열'
3하나금융지주, CET1 상승에 환원여력 늘었다
4하나금융지주, 믿을 건 은행…비은행 '뒷걸음질'
5하나금융지주 '통 큰 환원' 결정한 이사회 면면은
6신한지주 주주 정책, '예측 가능성' 방점
7배당 소극적인 신한지주, 올해는 달라질까
8비이자익 선방한 신한지주, 비은행 성적은 '퇴보'
9KB금융, 4대 지주 'PBR·PER 1위'…가장 높은 기대감
10'주주환원 강화' 신한지주, 이사회 적극적 주문 있었다
11김기홍 JB금융 회장의 주주환원 '퀀텀 점프'
12신한지주 사외이사 평가 더 깐깐하게...객관성 담보 총력
13'기대감 1위' KB금융, 자사주 소각 랠리 잇는다
14메리츠, 유일한 'PBR 1배 이상' 금융지주 비결은
15JB금융, '동일인 지분한도' 넘을라…자사주 소각 멈칫
16메리츠, 완전자회사 효과 속 이중레버리지 급등
17KB금융, 평가지표 'TSR' 활용…경쟁사들과 비교해보니
18JB금융, 자사주 활용 확대한 이사회 살펴보니
19한국금융, 은행보다 저PBR…환원율 제고 의지는
20BNK금융, 배당성향 제고에도 아쉬운 PBR
21한국금융, 주주환원보다 자회사 지원 '우선'
22BNK금융, 주주환원 관리 핵심으로 'RWA' 정조준
23DGB금융, 자사주 매입으로 올린 '주주환원율'
코스닥
24상신이디피, 3년만에 소각…30억 들여 시총 600억 효과
25'매출 편중' 상신이디피, CAPEX 확대로 돌파구 모색
26상신이디피, '미완의 승계' 우려에도…"밸류업 의지 커"
27디에스케이, 통 큰 자사주 소각…만년 적자는 한계
28'시총 25% 점프' 아바코, '주식 소각+이사회 개선' 통했다
29'설비투자 베팅' 아바코, 남은 건 자산 효율성 제고
30윈스, '조금' 열어 본 소각의 문…효과는 아직
31윈스, '2세 경영' 2년차…자본 재배치 움직임은 '미정'
32윈스, 이사회 실효성 의문…사외이사 출석률 0~22%
코스피
33유수홀딩스, 당근책 '한 번 더'…환원 불확실성 걷었다
34유수홀딩스, 운임 하락 충격에도 마진 방어 성공
반도체
35삼성전자, 연 10조 배당…믿는 구석은 반도체 '흑전'
36한미반도체, 트렌드·장래성·주주환원 '3박자'
건설사
37대우건설, 사라진 '매각 프리미엄'…떨어진 PBR·PER
38대우건설에 과연 주주환원 선택지는 없을까
보험사
39삼성생명, 공모가 밑도는 만년 저평가…이번에는
40'저배당·저PBR' 한화생명, 3년 만에 배당 재개
41삼성화재, 높은 자본여력…낮아지는 배당성향
42'배당주' 코리안리, 자사주 손 못 대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