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CFO

0

밸류업 프로그램 리뷰

배당 소극적인 신한지주, 올해는 달라질까

[금융지주]자사주 소각 규모 관건, 세부 일정 '미정'…주당배당액 성장은 더뎌

김소라 기자  2024-03-12 14:30:20

편집자주

금융당국은 2024년 1월 상장사 주주가치 제고 독려 및 정책적 지원을 위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도입을 발표했다. 미국, 일본 등 글로벌 증시 대비 유독 낮은 한국 주식 시장의 밸류에이션을 개선하겠다는 목적이다. 이와 맞물려 많은 상장사들은 대규모 주주 환원책을 내놓는 등 정부 정책에 부응하고 있다. 이같은 움직임을 보이는 종목들의 주가도 눈에 띄게 상승했다. 더벨은 주요 상장사들의 밸류업프로그램에 대해 리뷰해보고 단발성 이벤트에 그칠지, 지속적인 밸류업이 가능할지 점검해 본다. 이 과정에서 코리아디스카운트의 원인이 되는 거버넌스에 미칠 영향과 개선방안을 살펴본다.
신한지주가 올해 주주 환원 규모를 추가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자사주 소각분을 지난해 보다 더 늘리겠다는 개괄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다만 분·반기별 소각 일정이나 구체적인 규모 등과 관련해선 말을 아꼈다.

배당액 성장은 다소 더디다. 매년 배당 집행 대금 변화는 미미하다. 앞서 2022년 분기 배당 정책을 도입하며 배당 지급을 정례화하는 작업은 마쳤지만 배당금 지급 규모만 놓고 보면 가시적인 변화는 감지되지 않는다. 자사주 매입·소각에 따라 총 발행 주식수가 줄어들며 지난해 전체 현금 배당액은 감소했다.

신한지주는 올해 분기·결산 주당 배당액을 540원으로 확정했다. 전년(525원) 대비 약 2.9% 증가했다. 총 4회의 결산 시점을 고려한 당해 주당배당금(DPS)은 2100원으로 증가율은 1.7%다. 올해 이같은 배당 정책을 유지하며 자사주 매입·소각은 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신한지주 측은 "올해 손익 증가분에 대해 성장, 주주환원을 각각 6대4 비율로 분배하는 자본 배분 계획을 설정했다"며 "손익 규모, 경기 상황 등에 따라 세부적인 일정은 달라지겠지만 총 주주 환원율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는게 목표"라고 설명했다.


올해 주주 환원율 추이 변화 관건은 자사주 정책이다. 분기·결산 배당액을 전년대비 소폭 늘려 고정시킨 가운데 자사주 매입·소각 규모를 얼마나 더 올려잡느냐가 총 주주 환원율 증감에 결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신한지주는 자사주 소각 규모 자체는 전년대비 더 늘린다는 입장이다. 다만 구체적인 추진 일정은 제시하지 않았다.

앞서 지난달 열린 2023년도 신한지주 경영실적 발표회에서도 관련한 질의가 이어졌다. 기관투자자들은 당해 자사주 정책에 대해 보다 세부적인 추진 일정을 밝힐 것을 주문했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분기별 소각이 이뤄지는지 등을 질의했다. 현재 신한지주는 올해 1분기 기준 1500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소각 계획만 밝힌 상황이다.

이에 대해 천상영 신한지주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주주 정책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차원에서 지난해부터 분기별 자사주 소각 계획을 언급해 온 건 맞다"면서도 "여건 변화에 따라 세부 일정은 유동적일 수 있다. 6개월 단위로 자사주 정책이 이뤄질 수도 있는 것"이라 답했다. 올해 대외 경기 개선 속도, 이익 확보 추이 등에 따라 자사주 정책 세부 계획에도 변화가 이뤄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주주 환원율 성장 관련 일부 회의적 시선도 제기된다. 현대차증권은 지난달 발간한 신한지주 분석 보고서에서 "2024년 주주 환원 규모는 전년대비 10% 수준의 성장이 예상되나 총 주주 환원율 변화 추이는 크지 않을 것"이라며 "지난해 일회성 비용 발생 이슈를 고려하면 배당성향도 하락할 여지가 있다"고 짚었다.


실제 신한지주 배당성향은 일정하지 않은 편이다. 지난해 연결 배당성향은 24.9%를 기록했다. 전년비 1.4%포인트 올랐다. 범위를 넓혀 앞선 5개년도간 배당성향을 보면 23~26%대에서 등락하고 있다. 배당성향 자체를 높이기 보다 매년 주당 배당금액을 늘리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설명이다.

관련해 충당금 이슈를 무시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지난 몇 년간 경기 불확실성 대응 목적의 충당금을 지속 적립하며 비용 부담이 고조됐다. 이를 고려하면 배당성향 확대 작업에 대해선 보다 보수적으로 접근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지난해 신한지주 대손충당금전입액은 2조2510억원으로 전년대비 71%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코로나·경기대응 충당금이 지난해 말 7650억원으로 2020년 대비 2배 가량 늘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시리즈 모아 보기

밸류업 프로그램 리뷰

금융지주
1자사주 소각에 급반등한 금융지주 PBR '1' 도전
2자사주 카드 꺼낸 하나금융지주, 주주환원 셈법 '치열'
3하나금융지주, CET1 상승에 환원여력 늘었다
4하나금융지주, 믿을 건 은행…비은행 '뒷걸음질'
5하나금융지주 '통 큰 환원' 결정한 이사회 면면은
6신한지주 주주 정책, '예측 가능성' 방점
7배당 소극적인 신한지주, 올해는 달라질까
8비이자익 선방한 신한지주, 비은행 성적은 '퇴보'
9KB금융, 4대 지주 'PBR·PER 1위'…가장 높은 기대감
10'주주환원 강화' 신한지주, 이사회 적극적 주문 있었다
11김기홍 JB금융 회장의 주주환원 '퀀텀 점프'
12신한지주 사외이사 평가 더 깐깐하게...객관성 담보 총력
13'기대감 1위' KB금융, 자사주 소각 랠리 잇는다
14메리츠, 유일한 'PBR 1배 이상' 금융지주 비결은
15JB금융, '동일인 지분한도' 넘을라…자사주 소각 멈칫
16메리츠, 완전자회사 효과 속 이중레버리지 급등
17KB금융, 평가지표 'TSR' 활용…경쟁사들과 비교해보니
18JB금융, 자사주 활용 확대한 이사회 살펴보니
19한국금융, 은행보다 저PBR…환원율 제고 의지는
20BNK금융, 배당성향 제고에도 아쉬운 PBR
21한국금융, 주주환원보다 자회사 지원 '우선'
22BNK금융, 주주환원 관리 핵심으로 'RWA' 정조준
23DGB금융, 자사주 매입으로 올린 '주주환원율'
코스닥
24상신이디피, 3년만에 소각…30억 들여 시총 600억 효과
25'매출 편중' 상신이디피, CAPEX 확대로 돌파구 모색
26상신이디피, '미완의 승계' 우려에도…"밸류업 의지 커"
27디에스케이, 통 큰 자사주 소각…만년 적자는 한계
28'시총 25% 점프' 아바코, '주식 소각+이사회 개선' 통했다
29'설비투자 베팅' 아바코, 남은 건 자산 효율성 제고
30윈스, '조금' 열어 본 소각의 문…효과는 아직
31윈스, '2세 경영' 2년차…자본 재배치 움직임은 '미정'
32윈스, 이사회 실효성 의문…사외이사 출석률 0~22%
코스피
33유수홀딩스, 당근책 '한 번 더'…환원 불확실성 걷었다
34유수홀딩스, 운임 하락 충격에도 마진 방어 성공
반도체
35삼성전자, 연 10조 배당…믿는 구석은 반도체 '흑전'
36한미반도체, 트렌드·장래성·주주환원 '3박자'
건설사
37대우건설, 사라진 '매각 프리미엄'…떨어진 PBR·PER
38대우건설에 과연 주주환원 선택지는 없을까
보험사
39삼성생명, 공모가 밑도는 만년 저평가…이번에는
40'저배당·저PBR' 한화생명, 3년 만에 배당 재개
41삼성화재, 높은 자본여력…낮아지는 배당성향
42'배당주' 코리안리, 자사주 손 못 대는 이유